= 네이버,야후코리아, 파란, 프리챌, 드림위즈, 하나포스, 조인스닷컴, 동아닷컴, 한경닷컴 등
구글애드 CPC
= 구글, 다음, 엠파스, 에누리닷컴 등
----------------------------------------------------
네이트 - CPC 클릭초이스 & CPM 플러스프로
다음 - CPC 클릭스 & CPM 애드하우
http://blog.daum.net/haemin_/2116027
1. 순위사이트
국내의 대표적인 순위사이트는 피앙(fian.co.kr),
랭키닷컴(rankey.com), 100핫(100hot.co.kr), rank9(rank9.co.kr) 등이 있습니다.
알렉사닷컴(alexa.com)은 전세계 사이트가 나오므로 제외합니다.
그리고 시장조사, 마케팅 리서치, 컨설팅을 하는 메트릭스(metrixcorp.com)도 접속량에 따른 순위를 제공합니다. 그외에도 많이 있습니다만 상위에 나오는 것을 정리하면 이 정도 입니다.
(네이버, 피앙, 랭키, 100hot의 순위평가 카테고리 참조)
2. 순위사이트는 무엇?
순위사이트는 인터넷 사이트 순위를 매겨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유료로 제공하는 곳도 있고, 무료로 제공하는 곳도 있습니다.
3. 순위사이트의 순위 산정기준
우선 피앙을 먼저 말씀을 드리면
패널이라는 표본집단을 선정하여, 패널의 웹 서핑기록을 수집합니다. 피앙의 경우는 툴바(주소창)을 활용하지 않고 피앙 패널이라는 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이 가볍고 사용자 PC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패널에게서 전송받는 데이터 중 페이지뷰(사용자가 실제 Web server에 요청한 File(html)의 수를 근거로 작성)을 기준으로 산정하고 있습니다. 물론 페이지뷰는 조작될 가능성이 있지만, 피앙의 경우 동일IP체크, 동일사용자 체크 등의 방법으로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랭키닷컴의 순위산정기준은
네비라는 랭키닷컴 툴바를 설치한 사용자를 패널로 선정하고 그 패널의 웹 서핑 기록을 수집합니다.
패널이 보내온 데이터 중에서 Session visits:시간당 방문자수(한 시간 이내에 동일사이트에 재방문할 경우는 카운트 하지 않고 한 시간에 한번 카운트하며 하루 최대 24회 카운트 가능하다)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100hot의 경우도
랭키닷컴과 유사한 면이 있습니다. '100HOT'툴바'라는 툴바를 설치한 사용자를 패널로 선정하고, 패널의 웹서핑 기록을 수집하여 산출하게 됩니다. 100hot은 100일 평균/주간/월간 순방문자수(Unique Vistor)를 기준으로 순위를 산정하고 있습니다.
랭크나인은 산정기준이 다릅니다. 코리안클릭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산정하고 있습니다. 패널이나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 다는 것이죠.
4. 순위산정 기준의 차이점 표
Page view (페이지뷰) |
피앙 |
사용자가 실제 Web server에 요청한 File(html)의 수를 근거로 작성. 동일IP 중복 기록 무효, 조작 감지 확인 등의 장치 사용 사용자의 로열티를 즉시 반영할 수 있는 것이 특징 |
Session visits (시간당 방문자수) |
랭키닷컴 |
한 시간 이내에 동일사이트에 재방문할 경우는 카운트 하지 않고 한 시간에 한번 카운트하며 하루 최대 24회 카운트 가능하다. 인위적인 순위 왜곡의 가능성을 배제하고 놓칠 수 있는 트래픽을 반영 |
Unique visitor (순방문자수) |
코리안클릭 (rank9) |
하루에 동일한 사용자가 여러 번 웹사이트를 방문하더라도 1번의 방문으로만 인정. 장점: 조작 가능성이 낮음. 객관적 단점: Web site 다양성을 반영하기에 부적합 |
5. 순위사이트의 효용성 및 발전 가능성
사이트의 접속량, 방문자수 등은 자체 카운터를 통해 측정이 가능하나, 경쟁사이트의 경우는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즉, 순위사이트는 자신의 사이트와 경쟁사이트와의 비교, 분석에 꼭 필요한 여러 데이터를 제공해주어 마케팅 및 전략 수립에 중요한 참고자료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순위사이트는 패널 및 설문 조사를 통해 실시하므로 실제카운터와의 차이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인터넷 사용자 (약 3500만 추산)의 실제 사용기록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도 정확한 기준이 없는 국내 인터넷 실정에서 순위사이트의 순위가 기준이 되어 인터넷 비지니스 등에서 활용되었을 경우 효과는 매우 큽니다.
최근은 쇼핑몰 및 신규 인터넷 사업체에서 순위사이트의 순위를 가지고 홍보자료로써 홍보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6. 순위 사이트 간의 차이
피앙은 우선 순위자료에 대해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전체순위, 분야순위, 분야점유율, 순방문자 수, 페이지뷰, 전체점유율, 충성도, 로딩속도, 성별분포, 연령별분포, 지역별분포, 웹브라우저분포, 운영체제분포, 해상도 분포, 유입사이트, 유출 사이트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 모든 사이트의 카페/블로그/홈피에 대한 순위도 베타서비스 중이라고 합니다.
또한 모든 사이트의 순위정보에 대해서 무제한으로 열람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랭키닷컴은 유료회원에 한해서 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무료회원은 일부 순위와 분야점유율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유료회원은 5만원대, 10만원대, 30만원대 유료회원을 3단계로 나눠 단계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가 다릅니다.
분야순위, 전체순위, 분야 점유율, 도달율, 전체점유율, 일평균방문자수, 일평균페이지뷰, 시간당방문자수, 로딩속도, 성별연령별 분석, 유입패턴, 유출입사이트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료 금액에 따라 각종 보고서 등도 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 이 경우에도 다른 사이트의 모든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사이트 외에 볼 수 있는 사이트의 갯수도 제한이 됩니다.
100hot은 무료제공 중입니다.
분야순위 전체순위, 방문자수, 체류시간, 페이지뷰, 로딩타임, 방문자 분석, 유입경로 분석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모든 사이트가 알아보기 쉽게 그래프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이 정리해보았는데.. 순위사이트 간의 유무료 여부 및 순위 산정방식, 제공정보 등에서 차이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블로그 등 온라인활동, 회사 이미지 제고 도움” |
누적방문객 6천만명 돌파한 조선 유용원 기자 |
2007년 08월 16일 (목) 15:14:14 | 김창남 기자 ![]() |
![]() |
||
▲ 유용원 조선일보 기자 | ||
UCC 인기 `거품` 이었나
방문자수 증가세 꺾여 … 주요업체 상반기 적자
UCC(사용자제작콘텐츠)의 인기가 시들해졌다.
UCC 사이트 방문자수 급증세가 꺾였다.
일부 사이트는 방문자가 현저히 줄었다.
관련업계에서는 "성장 한계에 도달한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온다.
아직 이렇다할 수익 모델도 찾지 못했는데 "거품이 꺼지고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일시적 현상인가,아니면 한계에 봉착한 것인가.
인터넷 순위 조사기업 코리안클릭에 따르면 국내 주요 UCC 동영상 사이트인 판도라TV,앰엔캐스트,프리챌Q,다음TV팟 등의 방문자 수가 올해 들어 눈에 띄게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판도라TV의 경우 지난 1월 913만명에 달했던 월간 순방문자수가 4월에는 872만명으로 줄었고 지난달에는 834만명으로 감소했다.
| |
입력: 2007-07-30 17:47 / 수정: 2007-07-31 09:29
사이트 순위 평가기준 `손질중` |
방문자수ㆍ페이지뷰ㆍ체류시간 등으론 한계 시간 기준 '충성도' 새 평가 지표로 등장 양적수치 뿐 아니라 질적수치 함께 측정을 |
![]() |
![]() |
<심화영기자 dorothy@> | ▷심화영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 ||||
[저작권자(c)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마케팅 불변의 법칙]
마케팅 세계를 지배하는 강력한 마케팅 개념
알 리스 · 잭 트라우트 지음/박길부 옮김
1. 선도자의 법칙
- 더 좋은 것보다는 맨 처음이 낫다.
2. 영역의 법칙
- 최초로 뛰어들 수 있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야 한다.
3. 기억의 법칙
- 시장보다는 고객의 기억 속에 맨 먼저 들어가는 것이 더 중요하다.
4. 인식의 법칙
- 마케팅은 제품이 아니라 인식의 싸움이다.
5. 집중의 법칙
- 마케팅에서 가장 강력한 개념은 잠재 고객의 기억 속에 한 단어를 심는 것이다.
6. 독점의 법칙
- 두 회사가 같은 단어를 고객의 기억 속에 심을 수는 없다.
7. 사다리의 법칙
- 각 영역별로 어느 가로대를 차지하느냐에 따라 채용할 전략이 달라진다.
8. 이원성의 법칙
- 모든 시장은 두 마리의 말만이 달리는 경주가 된다.
9. 정반대의 법칙
- 2인자를 겨냥하고 있다면 전략은 선도자에 의해 결정된다.
10. 분할의 법칙
- 시간이 지나면 하나의 영역은 둘 이상으로 분할된다.
11. 원근의 법칙
- 마케팅 효과는 상당히 긴 기간에 걸쳐 나타난다.
12. 계열 확장의 법칙
- 기업은 성공한 브랜드의 이미지를 확대하려는 유혹에 쉽사리 빠진다.
13. 희생의 법칙
- 얻기 위해서는 포기해야 한다.
14. 속성의 법칙
- 어느 속성이든 효과적인 것이 단 하나라도 있게 된다.
15. 솔직성의 법칙
- 스스로 부정적인 면을 솔직하게 드러낼 때 오히려 잠재 고객의 신임을 얻게 된다.
16. 단독의 법칙
- 각각의 여건에서 오직 하나의 행동만이 실질적인 성과를 올린다.
17. 예측 불능의 법칙
- 경쟁자의 계획들을 작성해보지 않으면 미래를 예측할 수 없다.
18. 성공의 법칙
- 성공은 오만으로 이끌고 오만은 실패로 이끌어간다.
19. 실패의 법칙
- 실패는 예상되고 받아들여져야 한다.
20. 과장의 법칙
- 기업의 상황이 언론에 드러나는 것과 정반대인 경우가 종종 있다.
21. 가속의 법칙
- 성공은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 장기적인 추세에 따라 계획되어야 한다.
22. 재원의 법칙
- 자금의 뒷받침이 없는 아이디어는 소용이 없다.
목차만 봐도 어떤 내용일 꺼라는 것이 한눈에 보이기에 한번 정리해 봤습니다.
하지만 내용을 읽어보기 전에는 수박 겉 핥기가 되겠죠^^
도서는 참조일 뿐입니다. 분석을 토대로 다시 생각해봐야겠죠
"대량맞춤"과 "판매채널 다양화"를 국내 불황 타개책으로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고객 맞춤형 마케팅 전략과 다양한 판매채널 확보 등 미국 기업들이 추구하는 전략을 활용해 국내 판매부진을 극복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성)가 최근 발표한 「미국 마케팅의 최근 동향과 국내에의 시사점」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미국 마케팅전략은 「대량맞춤(Mass Customization)시대의 도래」와 「판매채널 다양화(Multichannelling)」"로 요약된다면서, "정부와 업계 모두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대비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대량맞춤' 방식은 얼핏 모순관계의 결합으로 보이나 유일함을 추구하는 고객의 욕구에 부합하고 있어 각광받고 있다.
'나이키'는 10달러의 추가비용으로 모양, 소재, 색상 등을 직접 설계할 수 있고, 여기에 자신의 이름까지 새겨 세계에 단 하나밖에 없는 "나만의 운동화"를 제작하고 있다. 미국의 남성복 브랜드인 "브룩스 브라더스(Brooks Brothers)" 뉴욕매장에서는 바디스캐너(body scanner)를 통해 12초만에 한 고객의 삼십만개 치수를 측정하고, 쇼룸에서 원하는 색상, 디자인, 직물 등을 선택하면 3주 후에는 "나만의 정장"을 가질 수 있다.
의류관련 전문 컨설팅 회사 KSA(Kurt Salmon Associates)에 의하면, 미국 소비자의 36%가 대량맞춤옷에 12∼15%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용의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미국 내에서 가격에 비해 가장 우수한 컴퓨터로 알려진 "델컴퓨터(Dell Computer)" 역시 고객이 직접 인터넷을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컴퓨터 사양을 직접 선택주문하고 있으며, 이런 방식의 판매가 현재 전체매출의 50%를 넘어서고 있다.
국내에서도 맞춤형 케잌, 맞춤형 부엌가구, 피부 맞춤형 화장품 등 대량맞춤의 방식을 도입하는 업체가 하나둘씩 생기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걸음마 단계에 있다.
또한 10년 전 사람들은 온라인점포가 등장하면 오프라인 점포를 장악하리라 예상했다. 그러나 지금 미국에선 온라인·오프라인·카달로그 등 여러 유통채널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이른바 다채널 점포 (Multichannel Retailer)가 온라인시장의 최종 승리자가 되고 있다.
순수 온라인 점포의 매출성장률은 13%에 불과한데 반해, 다채널 점포 매출은 이보다 4배 이상 높은 59%의 성장을 구가하고 있다(2002년). 이러한 무서운 성장세로 2002년에는 전체 온라인 매출의 72%를 기록하였고, 2003년에는 75%를 장악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Forrester Research 2002).
밑에 내용이 더 있는것 같았는데...잘려 있더군요. 첨부파일이 있길래 받으려 했더니..유료..
위의 내용으로 봐서는 유료까지 투자할만한 내용이 아니라 게시된 내용만 가져왔습니다.
출처 : 대한상공회의소
SEM (Search Engine Marketing) : 검색 마케팅
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 : 검색 최적화
CPC (Cost Per Click) : 클릭당 비용
CPM (Cost Per Million) : 기간별 비용
ROAS (Return on Ads. spendings) : 광고지출 수익률
ROI (Return on Investment) : 투자이익율
Display Ads.: 배너 광고
Search Ads.: 검색 광고
T&D : Title & Description
IMC : Inter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CTR : Click Through Rate
출처 : http://cafe.naver.com/marketingrepublic.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745